티스토리 뷰
목차
자동차세는 매년 6월과 12월 두 차례 납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 하지만 이럴 경우 자동차세를 납부함에 있어 많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죠. 하지만 ‘연납 신청 제도’를 활용하면 최대 9%까지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
2025년에도 동일한 혜택이 제공되며, 신청 시기와 방법을 놓치면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 따라서 연납 신청 제도를 잘 활용하는 것이 절세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. 이 글에서는 자동차세 연납 혜택, 신청방법, 주의 사항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.
자동차세 연납 혜택
차량 유지비만으로도 지출이 큰데, 자동차세를 1년에 두 번 내야 할 때마다 한숨이 나오곤 합니다. “한 번만 내면 안 될까?”, “조금이라도 줄일 방법은 없을까?”라는 생각, 다들 해보셨을 겁니다.
그 해답이 바로 자동차세 연납입니다. 연납을 신청하면 세금을 1년에 한 번만 내면 되고, 최대 9% 할인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 승용차뿐 아니라 화물차나 영업용 차량도 가능하며, 중간에 차량을 팔거나 폐차해도 남은 기간 자동차세는 환급받을 수 있어 손해가 없습니다.
할인율은 신청 시기에 따라 달라집니다.
- 1월: 9%
- 3월: 7.5%
- 6월: 5%
- 9월: 2.5%
즉, 빨리 신청할수록 유리합니다. 게다가 요즘은 위택스(Wetax)나 서울시 ETAX를 통해 온라인으로 간단히 자동차세 연납을 신청·납부할 수 있어 훨씬 편리해졌습니다.
자동차세 연납은 번거로움도 줄이고, 돈도 아끼는 똑똑한 방법입니다. 아직 신청하지 않았다면, 지금이라도 챙겨서 두 가지 혜택을 모두 누려 보시길 권장합니다.
자동차세 연납 신청 방법
자동차세 연납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. 온라인 신청은 위택스(www.wetax.go.kr) 또는 서울시민이라면 ETAX를 이용하면 됩니다. 회원가입 후 로그인하여 ‘자동차세 연납 신청’을 클릭하면 즉시 납부서가 발급되며, 카드나 계좌이체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.
오프라인 신청은 관할 시청·군청·구청 세무과에 방문해 신청 가능합니다. 하지만 2025년에는 온라인 신청을 권장하고 있으며, 특히 위택스는 카드 포인트 결제, 간편결제(카카오페이·페이코)까지 지원해 접근성이 높습니다.
신청 기간은 1월, 3월, 6월, 9월 네 차례이며, 해당 기간이 지나면 자동 신청이 되지 않습니다. 따라서 해당 월 내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. 연납 후 차량을 양도하거나 말소할 경우에는 잔여 세금이 환급되므로, 손해를 볼 일은 거의 없습니다.
자동차세 연납 주의사항
자동차세 연납은 매년 다시 신청해야 하는 제도입니다. 자동으로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매년 초 반드시 신청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. 또한 납부 기한을 놓치면 할인 혜택이 사라지고, 미납 시 가산금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신용카드로 납부할 경우 할부는 가능하지만, 일부 카드사에서는 무이자 혜택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어 미리 확인이 필요합니다. 또한 카드 포인트 납부가 가능하므로, 이를 활용하면 추가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
2025년 현재 일부 지자체에서는 모바일 고지서 및 카카오 알림톡으로 신청 안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알림 메시지를 받았다면 바로 신청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.
자동차세 연납은 단순히 세금을 절감하는 것뿐 아니라 납부 관리의 번거로움을 줄여주는 제도입니다. 2025년에도 최대 9%의 혜택이 유지되므로, 연초나 각 분기 신청 기간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. 지금 바로 위택스나 ETAX를 통해 신청해 보시고, 경제적인 절세 혜택을 누려 보시길 추천드립니다